2022. 9. 7. 20:19ㆍ대륙조선의 일반 영토
관연록 권상 / 1804년(순조4, 갑자)
13일 밤에 눈이 내리다가 아침에 갬
[DCI]ITKC_BT_1506A_0020_010_0150_2017_001_XML DCI복사 URL복사
30리를 가서 곽산(郭山)에 이르고, 40리를 가서 선천(宣川)에서 묵었다.
한낮에 운흥관(雲興館)에 도착했으니, 바로 곽산의 경계다. 산위에는 여러 개의 바위가 바둑돌처럼 펼쳐져 있었다. 봉우리를 빙 둘러 성을 쌓아 놓았는데, 성 안에는 사찰 하나가 있고 곁에는 별고(別庫)가 있다고 한다. 포시에 선천에 도착해 의검정(倚劍亭)으로 들어갔다. 정자 서쪽으로 난간을 이어서 누대를 만들고 문미에 ‘관덕루(觀德樓)’라고 했으니, 바로 삼방(三房 삼사(三使))이 묵는 곳이다. 그 곁에 작은 누각이 있는데 ‘보허각(步虛閣)’이라 하였다. 산봉우리가 에워싸고 인물이 많으니 또한 서관(西關)의 한 도회지이다. 이날은 국기(國忌 왕이나 왕후 등의 국장 및 제삿날) 때문에 기악(伎樂)을 폐하였다. 날이 저문 뒤에 촛불을 들고 조금 앉았으니 자못 다시 무료해졌다.
선천의 앞길이 드넓고 아득한데 / 宣川前路浩茫茫
의검정 머리에서 석양을 보노라니 / 倚劍亭頭看夕陽
패수(浿水)가 북쪽 흘러 북방 한기 완연하고 / 浿水北流渾朔氣
운흥관이 서쪽 솟아 이 또한 관방(關防)일세 / 雲興西出又關防
눈 아래 모든 것이 새 경치 아님 없건만 / 除非眼下皆新境
고향 향한 이내 마음 어떻게 하리오 / 爭奈心頭秖故鄕
옥 갈고 은을 뿌려 오늘 밤 눈 내리니 / 玉碾銀妝今夜雪
묘군(卯君)은 어디메서 홀로 산을 오르리 / 卯君何處獨登崗
흔들리는 작은 촛불에 생각이 아득하여 / 小燭搖輝思渺然
한밤에 옷 걸치니 이내 잠이 달아나네 / 披衣中夜況無眠
벗이 먼저 이별한 사람 마음 알아서 / 故人首獲離人意
밝은 달 맑은 바람 두 사람이 함께하네 / 明月淸風共兩邊
【서원(犀園)의 〈우식곡(憂息曲)〉에 ‘명월청풍공양변(明月淸風共兩邊)’이라 한 구절이 있었다.】
[주-D001] 운흥관(雲興館) :
평안도 곽산에 소속된 역관으로 많은 사신들이 이곳을 지나가며 시문을 지었다. 《해동역사》에 운흥관이 곽산군(郭山郡)에서 북쪽으로 17리 되는 곳에 있다고 하였다.
[주-D002] 묘군(卯君) :
훌륭한 아우를 뜻하는 말이다. 송나라 소식(蘇軾)이 그의 아우인 소철(蘇轍)이 묘년(卯年)에 출생했다 하여 소철을 묘군이라고 불렀는데, 소철 역시 문장으로 이름이 났었다. 여기서는 김선민의 아우인 김선신(金善臣)을 가리킨다.
사가시집 제21권 / 시류(詩類)
묘향산(妙香山)에 유람하러 가는 행 상인(行上人)을 보내다
바랑 짊어진 행색이 가을보다 썰렁하여라 / 打包行色冷於秋
묘향산 흰 구름은 운산에 연접하여 가고 / 香山白接雲山去
대동강 푸른 물은 살수와 연해서 흐르리 / 浿水靑連薩水流
가는 곳마다 선사는 호배라 칭할 테지만 / 到處禪師稱虎背
존자가 바로 사후라는 건 누가 알겠는가 / 誰知尊者是蛇喉
후일에 두루 유람하고 돌아온 다음에는 / 他時參遍歸來後
좋이 금비로써 내 안막을 긁어 줄는지 원 / 好借金篦刮膜不
'대륙조선의 일반 영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 일찍 악양을 지나다〔早過岳陽〕 (0) | 2022.09.10 |
---|---|
우리나라에도 큰 호수와 못이 영동(嶺東)에 많이 있습니다.” (0) | 2022.09.07 |
패수가 동쪽으로 흐르니 / 浿水東流 (0) | 2022.09.07 |
통제사 바다를 끼고 호수를 거점으로 삼아 호부(虎符)로 수천 리의 보장(保障)이 되는 지역을 지켜 왔다. (0) | 2022.09.07 |
서울에서 서쪽으로 금천(金川)까지 230리를 가는 데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