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27. 12:14ㆍ백두산
고전번역서 > 성호전집 > 성호전집 제3권 > 시 > 최종정보
성호전집 제3권 / 시(詩)
경성에 부임하는 이내경을 전송하며 3수 〔送李來慶赴鏡城三首〕
[DCI]ITKC_BT_0489A_0030_010_0420_2016_002_XML DCI복사 URL복사
마운령 너머 마천령 머나먼 그 길로 / 磨雲未已磨天嶺
백발의 서생이 말을 몰고 떠나가네 / 頭白書生叱馭行
아스라이 드리워진 저 변경 이천 리 / 沙塞茫茫二千里
험난한 일 닥쳐도 놀랄 필요 없으리 / 到來夷險不須驚
북쪽으론 오랑캐 땅 동해에 해 뜨는 곳 / 北接單于東日出
하늘이 그대에게 큰 유람을 하게 했네 / 天敎君作丈夫遊
철령 너머엔 항시 눈이 온다는데 / 鐵關以外恒飛雪
변경 그 어디쯤에 백두산이 솟았을까 / 何處邊山是白頭
선보의 백성들을 다스리기 얼마였나 / 單父臨民知幾日
거문고 몸에 지니고 평생을 보내었네 / 隨身琴 缺 了平生
변경엔 꾀꼬리와 꽃이 적다 들었나니 / 鐵州聽說鸎花少
봄의 소리 가득 안고 경성으로 가시길 / 定挽春聲入鏡城
[주-D001] 이내경(李來慶) :
내경은 이휘진(李彙晉)의 자이다. 1725년(영조1)에 증광시에 급제하였고 장령과 정언 등의 관직을 지냈다. 음률에 밝았으므로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의 낭청(郎廳)에 차임되기도 하였다. 《성호전집》 권51에 1735년 〈경성 통판으로 부임하는 이내경을 보내는 서〔送李通判來慶赴任鏡城序〕〉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이 시도 그때 쓴 것으로 보인다.
[주-D002] 送李來慶赴鏡城 :
퇴로본 권2에는 ‘送李來慶彙晉赴鏡城’으로 되어 있다.
[주-D003] 마운령(磨雲嶺) :
함경도 이원(利原)과 단천(端川)의 경계에 있는 재이다.
[주-D004] 마천령(磨天嶺) :
함경도 단천과 길주(吉州)의 경계에 있는 재로, 이판령(伊板嶺)이라고도 한다.
[주-D005] 철령(鐵嶺) :
함경도 안변(安邊)과 강원도 회양(淮陽)의 경계에 있는 재이다.
[주-D006] 선보(單父)의 …… 보내었네 :
선보는 고을 이름이다. 공자(孔子)의 제자 복자천(宓子賤)이 그 고을의 수령이 되었는데, 항상 거문고만 타고 당 아래로 내려오지 않았어도 백성들이 절로 교화되어 고을이 잘 다스려졌다고 한다. 《說苑 卷7 政理》 여기서는 이휘진이 과거에 수령으로 나가 덕으로 백성을 잘 다스린 적이 있고 또 그런 여유로운 자세로 평생을 살아왔으니, 마찬가지로 경성에 가서도 그렇게 하기를 바란다는 뜻을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주-D007] 缺 :
대본에는 결자(缺字) 처리를 하였으나 교정고본 권3과 퇴로본 권2에는 ‘阮’으로 되어 있다. 금완(琴阮)은 거문고의 이름이다.
[주-D008] 鐵州 :
교정고본 권3과 퇴로본 권2에는 ‘邊州’로 되어 있다. 철주는 지금의 요령성(遼寧省) 개평현(蓋平縣)을 일컫기도 하고 우리나라 철산(鐵山)을 그렇게 부르기도 하는데, 여기서는 어디를 지칭하는지 알 수 없다. ‘꾀꼬리와 꽃이 적다’는 말과 철주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찾아보았으나 전거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의미상으로는 변경 지방을 말하려는 것이고 또 ‘변주(邊州)’로 된 본도 있으므로 ‘변경’으로 번역하였다.
'백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흥(慶興) 7월이면 서리가 내리고 8월이면 눈이 내리며 (0) | 2022.10.27 |
---|---|
백두산엔 늘 눈 있어 견디기 어렵지만 / 叵耐白山恒有雪 (0) | 2022.10.27 |
황룡국과 광평대군 궁 (0) | 2022.10.19 |
장백산이 냉산(冷山) 동남쪽 1000여 리에 (0) | 2022.10.19 |
금나라 황성 (0) | 2022.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