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성 소백산(小白山) 부의 남쪽 45리에 있으니 봄과 여름에도 눈이 있다.

2023. 1. 2. 19:12백두산

신증동국여지승람 50 / 함경도(咸鏡道)

종성도호부(鍾城都護府)

[DCI]ITKC_BT_B001A_0510_010_0060_2000_006_XML DCI복사 URL복사

동쪽은 온성부(穩城府) 경계까지 27리, 북쪽은 같은 부의 경계까지 87리, 서쪽은 두만강(豆滿江)까지 1리, 서울과의 거리는 2천 38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고구려의 옛 영토였는데, 여진이 비어 있는 틈을 타서 들어와 살면서 수주(愁州)라고 칭하였다. 우리 왕조에 이르러 세종(世宗) 16년에 이미 별도로 알목하(斡木河)에다 회령진(會寧眞)을 설치하고, 이듬해에 영북 본진(寧北本鎭) 바로 백안수소(伯顔愁所) 에다 군(郡)을 설치하고 종성(鍾城)이라 이름하고, 진(鎭)의 절제사(節制使)가 지군사(知郡事)의 일을 겸하게 하고 부계(俯溪)ㆍ임천(林川)ㆍ녹야(鹿野)ㆍ방산(防山)ㆍ조산(造山)ㆍ시반(時反) 등 지방의 백성의 세대를 여기에 소속시켰고, 22년에 수주(愁州)가 강가에 들어가 있어서 적이 침략하며 들어오는 길목이므로 드디어 군(郡)의 치소(治所)를 이곳으로 옮겼다. 그리고 본진(本鎭)의 성을 도절제사(都節制使)의 행영(行營)으로 만들었다. 23년에 도호부(都護府)로 승격시켜 판관(判官)을 두고 토관(土官)을 설치하고, 또 남계(南界)의 백성을 옮겨 이곳에 채웠다.

【관원】 부사(府使)ㆍ판관(判官)ㆍ교수(敎授) 각 1인.

【토관】경원부(慶源府)와 같다.

【군명】 수주(愁州)ㆍ종산(鐘山).

【성씨】 본부(本府) 이(李)ㆍ장(張)ㆍ양(梁)ㆍ맹(孟)ㆍ김(金)ㆍ유(兪)ㆍ전(全)ㆍ박(朴)ㆍ한(韓)ㆍ봉(奉)ㆍ용(龍)ㆍ최(崔)ㆍ남(南)ㆍ정(鄭)ㆍ손(孫), 황(黃)ㆍ조(趙)ㆍ유(劉)ㆍ강(姜)ㆍ변(邊)ㆍ염(廉)ㆍ지(池) 모두 내성(來姓)이다.

【산천】 소백산(小白山) 부의 남쪽 45리에 있으니 진산(鎭山)이다. 봄과 여름에도 눈이 있다. 동건산(童巾山) 부의 북쪽 25리에 있다. 모양이 종(鐘)을 엎어놓은 것과 같다. 부의 명칭이 이 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나단산(羅端山) 부의 동쪽 54리에 있다. 또 경원부(慶源府) 편에도 보인다. 광덕산(廣德山) 부의 동쪽 45리에 있다. 위에 용담(龍潭)이 있다. 녹야현(鹿野峴) 부의 남쪽 1백 20리에 있다. 곡암(斛巖) 부의 동남쪽 45리에 있다. 돌 모양이 섬을 쌓아 놓은 것 같기 때문에 이렇게 이름을 붙인 것이다. 바다 부의 남쪽 1백 80리에 있다. 두만강(豆滿江) 부의 성 서쪽 2리에 있다. 상세한 것은 경원부(慶源府)의 항목에 나타나 있다. 동관소천(潼關小川) 부의 북쪽 1리에 있다. 서쪽으로 흘러 두만강으로 들어간다. 서풍천(西豐川) 부의 북쪽 1리에 있다. 근원이 나단산(羅端山)에서 나와서 두만강으로 들어간다. 부계(俯溪) 부의 남쪽 45리에 있다. 근원이 녹야현(鹿野峴)에서 나와서 북쪽으로 흘러 경원부(慶源府)에 들어가서 오롱초천(吾弄草川)과 합류된다. 오롱소 물[吾籠所水] 부의 남쪽 1백 20리에 있다. 녹야현(鹿野峴)에서 나와서 두만강으로 들어간다. 담천(潭泉) 광덕산(廣德山)에 있다. 가도(椵島) 부의 동쪽 1백 98리에 있는 바다 가운데에 있다. 향고개(香古介) 부의 남쪽 20리에 있다. 국사당 중령(國祠堂中嶺) 부의 북쪽 10리에 있다. 유성동현 중령(柳城洞峴中嶺) 부의 동쪽 1백 20리에 있다. 가을파령(加乙坡嶺) 부의 동쪽 1백 80리에 있다. 수주동(愁州洞) 이 다음은 모두 두만강 밖에 있는 땅이다. 보청포동(甫靑浦洞)ㆍ남경여동(南京餘洞)ㆍ벌시온동(伐時溫洞)ㆍ하을아동(下乙阿洞). 『신증』 증산(甑山) 소백산(小白山)의 동북쪽에 있다. 임천산(林泉山) 부의 동남쪽 80리에 있다.

【토산】 철(鐵) 부의 동쪽 바닷가에서 산출된다. 삼[麻]ㆍ인삼ㆍ대구[大口魚]ㆍ문어(文魚)ㆍ홍합ㆍ미역[霍]ㆍ곤포(昆布)ㆍ소금. 『신증』 해삼(海參)ㆍ방어(魴魚)ㆍ청어(靑魚)ㆍ송어(松魚)ㆍ은어[銀口魚]ㆍ연어(鰱魚).

【성곽】 읍성(邑城) 돌로 쌓았는데 둘레 4천 8백 81척, 높이 8척이다. 안에 우물 20개가 있다. 행성(行城) 돌로 쌓은 것이 길이 6만 2천 4백 8척이요, 흙으로 쌓은 것이 길이 8만 5천 6백 척이요, 목책(木柵)이 길이 3천 5백 82척이다.

【관방】 북도절도사 행영(北道節度使行營) 바로 백안수소(伯顔愁所)의 영북진(寧北鎭)의 옛 성이다. 부의 남쪽 85리에 있는데 돌로 쌓은 성의 둘레가 8천 3백 5척, 높이 25척이다. 안에 우물 5개가 있으며 서쪽으로 회령(會寧)이 55리, 북쪽으로 온성(穩城)이 70리, 동쪽으로 경원(慶源)이 90리이다. 4개소 진(鎭)의 중앙에 위치하여 두만강에 얼음이 얼어붙을 때에는 절도사가 여기에 머무르고 있다. 동관진(潼關鎭) 부의 북쪽 18리에 있다. 돌로 쌓은 성이 둘레 2천 9백 82척, 높이 9척이다.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의 영(營)이 있다. ○ 첨절제사 1명. 방원보(防垣堡) 부의 남쪽 22리에 있으며 돌로 쌓았는데 둘레 2천 4백 88척, 높이 7척이다. ○ 병마만호(兵馬萬戶) 1명. 세천보(細川堡) 부의 남쪽 25리에 있으며 돌로 쌓았다. 둘레가 1천 5백 77척, 높이 5척이다.

【봉수】 북봉 봉수(北峯烽燧) 부의 북쪽 9리에 있다. 남쪽은 남산(南山), 북쪽은 동관진에 호응한다. 동관진 봉수(潼關鎭烽燧) 부의 북쪽 17리에 있다. 남쪽은 북봉(北峯), 북쪽은 보청포에 호응한다. 보청포 봉수(甫靑浦烽燧) 부의 북쪽 21리에 있다. 남쪽은 동관진, 북쪽은 온성(穩城)의 소동건(小童巾)에 호응한다. 남산 봉수(南山烽燧) 부의 남쪽 5리에 있다. 북쪽은 북봉(北峯), 남쪽은 중산에 호응한다. 중산 봉수(中山烽燧) 부의 남쪽 11리에 있다. 북쪽은 남산(南山), 남쪽은 삼산에 호응한다. 삼산 봉수(三山烽燧) 부의 남쪽 16리에 있다. 북쪽은 중산(中山), 남쪽은 오갈암에 호응한다. 오갈암 봉수(烏曷巖烽燧) 부의 남쪽 21리에 있다. 북쪽은 삼산(三山), 남쪽은 방원보에 호응한다. 방원보 봉수(防垣堡烽燧) 부의 남쪽 31리에 있다. 북쪽은 오갈암(烏曷巖), 남쪽은 신기이에 호응한다. 신기이 봉수(新歧伊烽燧) 부의 남쪽 40리에 있다. 북쪽은 방원(防垣), 남쪽은 세천보의 포항(浦項)에 호응한다. 세천보 포항 봉수(細川堡浦項烽燧) 부의 남쪽 49리에 있다. 북쪽은 신기이, 남쪽은 회령(會寧) 고령진(高嶺鎭)의 하을포(下乙浦)와 호응한다.『신증』 하수구 봉수(下水口烽燧) 부의 북쪽 4리에 있다. 북쪽은 북봉(北峯), 남쪽은 상수구와 호응한다. 상수구 봉수(上水口烽燧) 부의 남쪽 5리에 있다. 남쪽은 남산(南山), 북쪽은 하수구(下水口)에 호응한다.

【학교】 향교(鄕校) 객관의 서쪽에 있다.

【역원】 종경역(鍾慶驛) 부의 성안에 있다. 무안역(撫安驛) 부의 남쪽 75리에 있다. 군창(軍倉)이 있다. 녹야역(鹿野驛) 부의 동쪽 1백 22리에 있다. 군창(軍倉)이 있다. 소백산원(小白山院) 소백산 아래에 있다.『신증』 곡암원(斛巖院) 부의 남쪽 40리에 있다.

【사묘】 사직단(社稷壇) 부의 서쪽에 있다. 문묘(文廟) 향교에 있다. 성황사(城隍祠) 부의 동쪽 2리에 있다. 여단(厲壇) 부의 북쪽에 있다.

【고적】 동건성(童巾城) 부의 북쪽 27리에 있다.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6백 32척, 높이 3척, 절벽이 1천 1백 21척이다. 안에 큰 못이 있는데 사면은 다듬은 돌로 쌓았고, 못 밑은 넓은 돌을 깔았다. 못 언덕에 또 넓고 반듯한 것이 숫돌과 같이 반들반들한 돌이 있다. 전하는 말에 동건(童巾)이란 사람이 그 돌에 쓰기를, “태정(泰定) 5년에 적을 방어하고 7년에 …….”이라 하였으므로, 동건성(童巾城)이라고 한다 하겠다. 동풍보(東豐堡) 부의 동쪽 40리에 있는데 흙으로 쌓았다. 둘레 1천 4백 40척인데 현재는 폐지되었다. 서풍보(西豐堡) 부의 동쪽 20리에 있는데 흙으로 쌓았다. 둘레가 1천 8백 11척인데 현재는 폐지되었다. 응곡보(鷹谷堡) 부의 동쪽 30리에 있는데 흙으로 쌓았다. 둘레가 1천 1백 21척인데 현재는 폐지되었다. 남경(南京) 동관보(潼關堡)에서 두만강을 건너 보청포(甫靑浦)를 경유하여 사춘천(舍春川)을 건너면 옛 성이 있는데, 명칭을 남경(南京)이라 한다. 그 서북쪽에 또 산성이 있는데 그 땅의 명칭은 알 수 없다.

『신증』 【명환】 본조 유담년(柳聃年) 판관(判官)으로 있었는데, 청렴하며 간소하게 지내고 법을 지켰다. 남적(南績) 부사(府使). 권승(權勝) 판관으로 있었다. 청렴하며 간소하였다. 유옥(柳沃) 부사(府使). 형벌을 간소하게 하며 행정이 청백하였다.

【제영】 가시덤불을 쳐내고 부(府)를 설치한 지 몇 해가 되지 않았다 신숙주(申叔舟)의 시에, “가시덤불을 쳐내고 부(府)를 설치한 지 몇 해가 되지 않았는데, 경내에 사는 백성은 큰 강물을 경계로 삼고 있네. 오랑캐들 다투어 정성을 바치는 것을 날마다 보니, 동쪽으로 적셔 오는 임금의 교화가 역마(驛馬)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보다 빠르도다.” 하였다. 봄바람에 역마를 타고 종성(鍾城)을 향한다 강효문(康孝文)의 시에, “봄바람에 역마를 타고 종성으로 향하니, 북치며 호각 부는 소리 요란하니 장군의 행차로다. 동쪽 산에 살구꽃 서쪽에는 진달래, 말이 가는 대로 따라서 청명한 봄경치를 구경하노라.” 하였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연혁】 고종 32년에 군으로 고쳤다.


《대동지지(大東地志)》

【방면】 읍사(邑社)ㆍ동풍(東豐) 동쪽으로 45리이다. 서풍(西豐) 동남쪽으로 25리이다. 응곡(鷹谷) 동쪽으로 30리이다. 동관(潼關) 북쪽으로 3리이다. 향현(香峴) 남쪽으로 27리이다. 고읍(古邑) 남쪽으로 75리이다. 방원(防垣) 남쪽으로 50리이다. 장풍(長豐) 동남쪽으로 1백 50리이다. 녹야(鹿野) 남쪽으로 1백 50리이다. 방산(防山) 동남쪽으로 1백 40리이다. 조산(造山) 동남쪽으로 1백 90리이며 해변이다. 위는 모두 경계의 끝이다.

【영아】 속위북도(屬衛北道) 전위(前衛)는 회령(會寧), 좌위(左衛)는 종성(鍾城), 중위(中衛)는 온성(穩城), 우위(右衛)는 경원(慶源), 후위(後衛)는 경흥(慶興)이다.

【진보】 강탄파수 20처(江灘把守二十處) 동관(潼關)이 3개 처, 본부(本府)가 14개 처, 방원(防垣)이 3개 처이다.

【봉수】 포항(浦項) 남쪽으로 50리이다. 북봉(北峯) 북쪽으로 9리이다. 장성문(長城門) 북쪽으로 13리이다. 북봉(北峯) 북쪽으로 18리이다. 권설(權設)ㆍ금적곡(金迪谷) 동쪽으로 60리이다. 소백산(小白山) 동남쪽으로 35리이다. 피덕(皮德) 남쪽으로 50리이다. 회중동(回仲洞) 남쪽으로 65리인데 위는 행영(行營)에 붙였다.

【창고】 읍창(邑倉)ㆍ고읍창(古邑倉) 행영성(行營城) 밖이다. 동풍창(東豐倉) 동쪽으로 35리이다. 부계상창(涪溪上倉) 남쪽으로 90리이다. 부계하창(涪溪下倉) 남쪽으로 70리이다. 녹야상창(鹿野上倉) 동쪽으로 1백 50리이다. 녹야하창(鹿野下倉) 동남쪽으로 1백 20리이다. 조산해창(造山海倉) 해변이다. 방산창(防山倉) 동남쪽으로 1백 40리이다.

【역참】 보발(步撥) 방원참(防垣站)ㆍ관문참(官門站)ㆍ동관참(潼關站) 간발(間撥) 방원참ㆍ세천참(細川站), 무안참(撫安站) 동쪽으로 온성(穩城) 취암참(鷲巖站)은 30리이다.

【토산】 연석(硏石) 자색(紫色)의 아름다운 오연석(烏硯石)과 아란석(鵝卵石)은 오룡천(五龍川)에서 최고품이 나온다.

【사원】 종산서원(鍾山書院) 현종 병오년에 건립하고, 숙종 병인년에 사액하였다. 정여창(鄭汝昌) 문묘(文廟)에 보인다. 기준(寄遵) 고양(高陽)에 보인다. 유희춘(柳希春) 담양(潭陽)에 보인다. 정엽(鄭曄) 광주(廣州)에 보인다. 정홍익(鄭弘翼) 북청(北靑)에 보인다. 김상헌(金尙憲) 태묘(太廟)에 보인다. 정온(鄭蘊) 광주(廣州)에 보인다. 조석윤(趙錫胤) 개성(開城)에 보인다. 유계(兪棨) 임천(林川)에 보인다. 민정중(閔鼎重) 양주(楊州)에 보인다. 남구만(南九萬) 함흥(咸興)에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