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노는 하늘을 ‘탱리(撑犁)’라고 한다”

2022. 10. 19. 20:17고대사

고운당필기 4

몽고어〔蒙古語〕

[DCI]ITKC_BT_1550A_0040_000_0250_2021_001_XML DCI복사 URL복사

몽고어로 하늘을등혁력(騰革力)’이라 하니 《한서》 〈흉노전〉에흉노는 하늘을탱리(撑犁)’라고 한다 말이 이것이다. 양을 납라(納刺) 하는 것은 어렴풋이 우리말과 비슷하고, [] 막림이라 하는 것은 만주어와 같다. 고려를 쇄롱혁이라 하는데 조서(臊鼠 은서, 족제비) 쇄롱혁이라 하니 뜻을 모르겠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몽고 사람을 만나면 누린내가 난다고 싫어하고 만주 사람을 만나면 고기 비린내가 난다고 싫어한다. 아마 몽고 사람들도 우리를 만나면 비린내가 난다 할까? 우리 풍속에서 아이들 놀이로 실에 깃털을 매어 바람에 날리는 것을 고고매(姑姑梅)라고 하는데 몽고에서 봉황을 고고매(苦苦妹) 하니 고고매(姑姑梅) 고고매(苦苦妹)임을 알겠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고려 몽고어를 많이 익혔다.

[-D001] 몽고어로 …… 이것이다 : 

몽골 민간 신앙에서 최고의 신은 천신(天神)인데, 몽골어로는 ‘텡게르’라 하고 현재 중국어로는 ‘騰格里 표기하고텅거리(ténggélǐ)’ 읽는다.

[-D002] 막림(莫林) : 

현재 중국어 발음은모린(mòlín)’이다. 앞의 〈만주어〉에여진은 [] 모린(毛鄰)이라고 한다.” 하였는데, 이와 발음이 비슷하다.

[-D003] 쇄롱혁(瑣瓏革) : 

숙량합(肅良合)으로도 표기되었다. 현재 몽골어 발음은 ‘소롱고’이고, 무지개라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