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이 40여 일 포위됐으나,군사들이 주린 빛이 없었고 저축이 여유가 있었다.
고전번역서 > 기언 > 기언 별집 제25권 > 구묘문 > 최종정보
기언 별집 제25권 / 구묘문(丘墓文)
판중추부사 허공(許公) 신도비(神道碑)
[DCI]ITKC_BT_0344A_0940_010_0070_2013_008_XML DCI복사 URL복사
공은 휘는 휘(徽)이고 자는 휘지(徽之)이며, 성은 허씨(許氏)이니 그 세계(世系)가 공암 촌주(孔巖村主)로부터 나왔다. 보첩(譜牒)에서 상고해 보면, 고려 때부터 무릇 귀족들은 내외(內外)로 공암을 본관으로 한 자가 많다. 세기(世紀)에 의거하건대, 공에 이르기까지가 대개 23세이다.
성화(成化) 연간에 상국(相國) 문정공(文貞公) 침(琛)이 있었는데 공의 5세조이다. 문정공의 4세에 지중추부사 진(晉)이 있었다. 아들이 없어 형제의 아들 중에서 고르게 되었는데 공이 가장 어질었으므로 드디어 공을 아들로 삼았다.
공은 첫 벼슬을 우리 선조 40년(1607)에 하였다. 9년 뒤에 양천 현령(陽川縣令)이 되었는데, 그해에 중추공(中樞公)이 세상을 떠났다. 삼년상을 마치고 나니 바야흐로 광해군의 정치가 혼란할 때였는데 사대부들 중에 몸을 고결하게 지니는 자들은 벼슬을 버리고 떠나는 이들이 많았다. 공도 드디어 다시 벼슬을 하려 하지 않고 농사를 지어서 먹고살았다.
인조 때에 와서 어떤 사람이 공을 추천하여 안성 군수(安城郡守)가 되었다. 뒤에 예천 군수(醴泉郡守)와 이천 도호부사(利川都護府使)가 되었다. 대령(大嶺)의 안팎은 물산이 풍부하고 인민들이 장사치들과 뒤섞여 말단의 영리를 추구하였으므로 그 세속에 사나운 큰 도적들이 많았다. 이천과 예천은 그중 더욱 심한 고을로 이름이 났다. 공이 법령을 세워 간교한 도적들을 잡아내서 그 괴수는 베고 나머지는 석방하여 본업으로 돌려보내 양민을 만들었다. 상이 훌륭하게 여겨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진시켰다.
을해년(1635, 인조13)에 들어와 동지중추부사가 되었다. 병자년(1636)에 경주 부윤(慶州府尹)으로 나가니, 요직에 있는 자가 논란하기를 그치지 않았는데, 상이 듣지 않고 광주목(廣州牧)으로 옮겼다.
이전 해에 노장(虜將 청 태종)이 위호(位號)를 참칭하고 사신을 보내왔는데 조정에서 이를 물리쳤다. 저들이 처음에는 ‘비록 예의(禮義)를 지키는 나라일지라도 무력으로 위협하면 어찌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여기다가, 물리침을 당하게 되자 매우 부끄러워하였고, 도리어 구금당할까 봐 스스로 의심하여 즉시 서둘러 떠났다. 길거리의 소년들까지 모여서 깨진 기왓조각과 돌멩이를 던지며 그들을 쫓았다. 이에 큰소리치는 자들이 모두들 말하기를,
“사람들이 모두 적(賊)을 치고 싶어 한다.”
하였다. 공은 걱정하면서 말하기를,
“지금 오랑캐가 바야흐로 강성한데 우리가 재앙을 불러들이고 있다. 한 해를 넘기지 않아서 큰 침공이 있을 것이다. 남한산성은 왕성(王城)의 방패막이이니, 저축을 힘쓰고 기계(器械)를 수리하며 남성(南城)의 보루(堡樓)를 증축하여 적의 침략에 대비해야 한다.”
하였다. 겨울에 오랑캐가 과연 대거 쳐들어왔다. 상이 급히 남한산성으로 들어갔는데, 산성이 40여 일이나 포위를 당하였으나 군사들이 주린 빛이 없었고 저축이 여유가 있었다. 상이 더욱 가상히 여겨 특별히 자헌대부로 품계를 올려 광주 부윤(廣州府尹)에 승진시켰다.
무인년(1638, 인조16)에 들어와 지충추부사가 되었다가 드디어 형조 판서에 제배되었다. 상이 매우 신임하고 물품을 많이 하사하였으며, 항상 ‘포위되었던 성중(城中)의 주인(主人)’이라 불렀다.
경진년(1640)에는 한성부 판윤이 되었다가 나가서 강도 유수(江都留守)가 되었으며, 다시 들어와 판윤이 된 것이 두 번이었고 중추부(中樞府)에 있었던 것이 두 번이었다. 정해년(1647)에는 나이가 많은 원로라는 이유로 숭정대부에 올라 판중추부사가 되었는데, 이때에 공의 나이가 이미 여든이었다. 아들 계(啓)는 일찍이 경기 관찰사를 지내고 지금 병조 참판으로 있고, 손자 환(瑍)과 정(珽)과 순(珣)은 모두 진사에 합격하였으며, 정은 잇달아 문과에 을과(乙科)로 급제하였다.
기축년(1649, 효종 즉위년)에 공조 판서가 되었고 한 해 만에 늙었다는 이유로 사직하니, 다시 판중추부사가 되었다. 2년째 되던 가을에, 죽기 전에 말미를 얻어 선인(先人)의 묘소를 살펴 보수하게 해 달라고 청하니, 상이 어질게 여겨 묘소에 올릴 제물상(祭物床)을 갖추어 주도록 하며 매우 후하게 대우하였다. 다음 해 2월에 세상을 떠나니, 나이는 85세였다.
부인은 상당 한씨(上黨韓氏)인데 감찰 아무의 따님이다. 2년 전에 86세로 세상을 떠났다. 모두 장단(長湍) 오동(鰲洞)의 가족묘지에 장사하였다.
공은 나이가 많아지고 벼슬이 높아질수록 더욱 공손하고 삼갔으며, 비록 친척이나 어린아이들일지라도 의관(衣冠)을 갖추지 않고는 만나지 않았다. 녹봉이 넉넉한 뒤에는 반드시 가난한 종족과 이웃에게 나누어 주었으며, 검소함을 좋아하여 거처와 의복이 한미한 선비와 같았다. 늘 탄식하기를,
“내가 나라의 큰 은혜를 받았다. 공로도 없이 아비와 아들이 모두 경(卿)의 반열에 이르렀으니, 한결같은 마음으로 전하께 보답할 뿐이고 다른 소원은 없다.”
하였다. 매우 성대한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말을 항상 하였다. 훌륭하다. 공은 몸가짐이 간정(簡靜)하고 겸손하였고, 신분이 높다고 해서 비천한 자들을 저버리지 않았다. 공은 이것으로 장수하였고 이것으로 신분이 높아졌고 이것으로 그 집안을 가르쳐 법도를 삼았다. 다스리던 고을의 백성들이 공을 신뢰하여 잊지 않고 추모하는 것도 또한 이것 때문이라 하겠다.
명은 다음과 같다.
온화한 덕성은 / 溫溫維德
길인의 모범이요 / 吉人之則
삼명에 더욱 공손함은 / 三命愈恭
공보의 몸 굽힘이네 / 孔父俯躬
패옥 차고 갓끈 드리우니 / 玉佩長纓
머리가 허연 노인이라 / 皤皤黃耈
하늘이 천수를 누리게 했고 / 天享大耋
경사가 후손에게까지 미치리라 / 慶及厥後
[주-D001] 성화(成化) 연간 :
성화는 명나라 헌종(憲宗)의 연호이다. 1465년(세조11)에서 1487년(성종18)까지이다.
[주-D002] 대령(大嶺) :
큰 고개라는 일반 명사인데, 여기서는 새재〔鳥嶺〕를 가리키는 말인 듯하다.
[주-D003] 삼명(三命)에……굽힘이네 :
《춘추좌씨전》 소공(昭公) 7년 9월 기사를 보면, 공자(孔子)의 선조인 송나라 정고보(正考父)는 상경(上卿)이었으나 태도가 매우 공손하였다고 한다. 솥을 만들어 명(銘)을 새겼는데, 그 명에 “일명(一命)에는 고개를 숙이고 이명(二命)에는 등을 구부리고 삼명(三命)에는 몸을 구부리어, 길을 갈 때에 담장에 바짝 붙어서 빠르게 걸으면 감히 나를 업신여기는 사람이 없으리라. 이 솥에 된 죽도 끓이고 묽은 죽도 끓여서 입에 풀칠을 하며 살리라.” 하였다. 일명은 대부, 이명은 하경(下卿), 삼명은 상경을 말한다. 벼슬이 높아질수록 더욱 겸손하였다는 뜻이다.